본문 바로가기
돈되는 경제,부동산정보

다주택자 종부세 취득세 알아보기!

by 마우스클릭 2022. 5. 12.
728x90

다주택자 종부세 취득세 알아보자

부동산 세금과 관련해 정보를 종종 다뤄왔는데요. 정책이 강화되는 면도 있고, 이를 잘만 활용하면 절세로 이어질 수 있는 부분들도 있어 항시 관심을 사로잡는 주제라고 생각됩니다. 오늘은 다주택자 종부세 취득세와 관련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이제는 잘 아시는 것처럼 부동산을 취득할때나 보유하고 있다면 여러 세금들이 부과되고 있습니다. 이를 현명하게 활용하면 아낄 수 있는 부분들이 있으니 자세히 알아보고,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지 살펴보겠습니다.

일단 시행되고 있는 제도들을 잘 파악해야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들로 인해 과중한 과세를 떠안는 것부터 피할 수 있겠는데요. 일부 투기세력이나 집값 안정을 위해 다주택자들에게는 집이 많을수록 제재되는 부분들이 많은데요. 부과되는 세 중에 부가세와 더불어 농어촌 특별세, 지방교육세 등이 있으며 이는 0.4%를 시작으로 85㎡가 넘으면 농어촌특별세 1%까지 주택을 많이 보유할수록 13.4%까지 세금이 부과되고 있습니다.

법인일 경우에는 다주택자 종부세 취득세를 책정하는데 주택을 소유하는 것과 상관이 없고, 조정대상지역의 제재도 받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젤 높은 세율을 적용해 만일 1억에 달하는 집을 소유하고 있으면 일괄적으로 약 1,300만원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면 꼭 내야되는 것이 재산세입니다. 이외에 종합부동산세도 있고 이는 중과될 때 약 6%의 세율이 적용되고, 농어촌특별세까지 추가 적용을 받아 6%의 20%인 1.2%가 더해집니다. 즉 총 7.2%의 세를 매년 내야 되는 것으로 다주택자들은 이것이 중요한데요. 종부세는 소유중인 부동산에 대한 세금으로 공시가를 기준해 판단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공시지가는 매년 오르고 있으며 그만큼 세도 더 납부해야 된다고 볼 수 있는데요. 좀 더 살펴보면 94억원을 초과하면 7.2%의 세율이 적용되고 있으며 법인은 공시지가 100억일 때 공제를 받을 수 없어 72억원에 해당하는 종부세를 매해 내야 된다고 합니다. 여기에 재산세를 포함하면 더 높아지는데요.

다주택자 종부세 취득세를 납부해야 되는 기간은 매년 12월1일~15일까지이며 국세청을 통해 납세 고지서를 받으면 확정된 세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한번에 납부해야 되나 분할로도 가능한 점 참고하면 될 듯 하고요.

중요한 것은 누락되지않아도록 관리를 잘해주셔야 됩니다. 혹여라도 놓치면 가산세까지 붙고있으니 주의하는 것이 좋겠고요. 간단하게 다주택자 종부세 취득세를 알아보았는데 집을 많이 보유하거나 취득할수록 세부담이 크게 다가올 수 있는 점 감안하여 계획을 잘 세워보시길 바랍니다.

300x25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