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4번 연속해서 동결하면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3.5%에 머물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1금융권이든 저축은행이든 스리슬쩍 예금 및 적금 금리를 낮추기 시작했죠
하지만 잘 찾아보면 여전히 고금리적금이 있습니다. 특히, 첫거래 우대 금리라던가 이벤트를 적용해서 우대금리를 받으면 최대 세전 연 7% 짜리 적금도 있으니,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단, 예금자보호한도 만큼만
(원금+이자 포함 5천만원)

현재 우리나라는 1금융권 (하나, 국민, 우리, 신한 등) 은행과 저축은행 등의 경우 국가가 보장하는 예금보험공사의 예금자보호한도인 5천만원은 보장됩니다. 뱅크런으로 은행이 망해도 5천만원 까지는 국가가 지급 보장하죠.
그리고 최근 이슈가 있었던 새마을금고나 우체국 등의 경우 국가가 보장하는 은행법에 따른 예금보험공사의 보장은 받지 못하지만, 중앙회 등에서 각종 근거법에 기반해 보장해주긴 합니다. (사실 국가의 지급보장이 아니므로 협동 조합의 경우 불안하긴 합니다)
여튼 뱅크런이 걱정되신다면 5천만원 한도에서 적금을 드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그리고 본점 및 지점에 관계없이 금융기관 한 곳에서는 합산해서 보호되므로 5천만원이 초과되면 각기 다른 저축은행에 가입하는 게 좋습니다. (1억이면 5천만원 씩 다른 저축은행에 가입)
옛날 같지 않은 파킹통장

한때 카카오의 세이프박스나, 토스의 파킹통장 등 수시 입출금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최대 연 4%까지 고금리를 주던 파킹통장이 지금은 2%대로 금리가 낮아졌습니다. 그래서 과거 파킹통장에 넣어뒀다가 다시 적금이나 예금으로 갈아타시는 분들도 있는데,
만약 지금 파킹통장에 넣어두고 계신 분들이라면 금리를 한번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많이 떨어졌을거예요)
우대금리 적용시
최대 10% 적용

웰컴저축은행의 경우 m정기적금은 세전 기준 우대금리 3.3%를 포함하면 최대 연 7%의 금리를 주며, 5천만원 한도내에선 예금자보호까지 가능한 상품을 내 놨습니다. (아래 링크 참조)
인터넷 뱅킹으로만 가능하고, 웰컴디지털뱅크 첫 거래 등의 조건을 갖추면 최대 연 10%의 높은 금리가 적용됩니다. 비대면으로 계좌가 개설되니, 우선 계좌를 개설 후 적금에 가입하시면 됩니다. (위 참조)
물론 적금이든 예금이든 모든 우대금리를 찾아먹긴 힘듭니다. 카드써야되고, 급여이체해야되, 첫 거래고객이어야 되고 등등 조건이 까다롭지만, 최대한 챙길 수 있는 것만 챙겨도 꽤나 높은 고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저축은행 고르는 팁!
기본적으로 저축은행은 은행법의 통제를 받으므로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예금자보호가 적용되는지 사이트에서 다시 확인하시면 좋습니다. 참고로 웰컴저축은행은 당연히 예금자보호가 됩니다.
그리고 BIS 자기자본비율을 봐야됩니다. 과거 외환은행이 론스타에 먹힐 때, BIS가 이슈화 되면서 나름 유명해지긴 했지만 아직 모르는 분들이 많죠

BIS
BIS란 국제결제은행이 위험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로 최소 8%를 기준선으로 정했습니다.
BIS 8%이하면 부실은행이고, 그 이상이면 건전은행인거죠. 쉽게말해 은행이 자기자본으로 얼마만큼 돈을 굴리고 있는지 확인하는 겁니다. 가령 100억을 굴리는데 자기자본이 10억이면 자기자본비율은 10%죠. 나머지 90%는 남의 돈 입니다. 물론 여기에 위험가중치를 적용하기 때문에 비율은 차이가 나겠지만 기본 원리는 이렇습니다.
저축은행중앙회(SB)
BIS 비율 공시

우리나라는 저축은행중앙회에서 BIS 비율을 공시하는데,

웰컴저축은행 BIS
고금리로 10%에 가까운 적금이 있었던 웰컴저축은행의 경우 BIS 13.04%로 상당히 높습니다.

우리은행 BIS
제 주거래은행인 우리은행의 경우도 22년 3분기 기준 BIS 비율이 15% 수준임을 생각하면 저축은행의 BIS도 상당히 건전한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 저축은행도 믿고 고금리 예금이나 적금 상품을 가입하셔도 좋습니다.
단, 불안하다면 예금자 보호한도인 5천만원 까지만 가입하는 게 좋겠죠!
'돈되는 IT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인공지능 구글ai, 재미나이 AI로 시작하기 (0) | 2024.06.30 |
---|---|
블록딜 뜻과 사전공시 제도 시행 (7월 24일) 물적분할 회사 투자 주의 (0) | 2024.06.29 |
[구글애드센스] 티스토리 블로그 만들기 및 최적화 (0) | 2024.06.11 |
구글 애드센스 가입 및 신청후 티스토리 블로그 하기 (0) | 2024.06.11 |
구글 어시스턴트, 이제 재미나이 AI로 시작하기 (0) | 2024.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