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교통카드, 알뜰폰.. 등 고물가 고금리가 이어지면서 알뜰의 시대가 오는 것 같습니다.
사실 2,3년 약정만 없으면 무조건 알뜰폰으로 갈아타는게 이익입니다. 알뜰폰의 단점이라 불리는 자급제폰 이용 및 부가혜택의 부재를 감안해도 통신요금이 그걸 압살하니까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알뜰폰이란?
(MVNO)

알뜰폰이란 정확히는 가상 이동통신망 서비스를 말합니다. 영어로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MVNO)라고 불리는데, 그 이유는 알뜰폰 자체가 망을 독자적으로 구축하는 게 아니라, SK / KT / LG가 사용하는 망을 빌려서 쓰는 가상의 이동통신망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알뜰폰 통신사라고 일컫지만, 사실상 망을 대여하는 사업자라고 보시는 게 맞습니다.
망 유지비가 없고, 별도로 광고를 하지 않아도 되니 그걸 가격에 녹여서 할인해주면서 알뜰하게 쓸 수 있다는 뜻에서 알뜰폰이라 불립니다.

알뜰폰 가입자 추이
2011년 처음 도입된 후 가입자는 40만명이었는데, 21년 1천만명을 돌파했고, 23년 기준 무려 1,334만명이 알뜰폰을 씁니다. 쓰던번호는 그대로 쓰고, 사실상 망도 동일하게 쓰지만 사업자만 바뀌는거니 소비자 입장에서는 조금이라도 더 싼 알뜰폰으로 몰린거죠.
편의점에서 유심만 사서 갈아끼면 바로 개통되고, 편의점에 해당 알뜰폰통신사가 없다면 알뜰폰 허브나 우체국 사이트에 유심을 구매해도 됩니다. 정말 편하죠;

출처 : 정통과기부
요금만 놓고 보면 LTE 든 5G든 적게는 40%에서 많게는 60%까지도 알뜰폰이 더 저렴합니다. (약정만 아니면 알뜰폰 갈아타는 게 답이죠)
알뜰폰 통신사
알뜰폰 통신사 (사업자)는 70여개가 넘습니다. 그 중 가장 큰게 LG헬로비전, KT엠모바일, 에스원, SK텔링크, 미디어로그 u+알뜰모바일 등이 있는데, 이름만 들어도 아시겠지만 사실 대기업 통신사의 자회사가 꽉 쥐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기업 망 별로 사업자가 다른데, 3가지 망 모두를 이용하는 사업자도 있습니다. 망별 알뜰폰 사업자는 아래 리스트를 참고해주세요!
SK 망

KT망

LU U+망

알뜰폰 요금제를 비교해주는 알뜰폰허브에 들어가시면 본인에게 맞는 요금제를 고를 수 있는데, 심지어 요금이 0원인 것도 있습니다; 물론 무료의 경우 일정기간 무료로 사용하고 그 이후에는 요금을 내는 방식인데, 저렴한 편입니다.
알뜰폰 단점
가격이 싸다는 게 알뜰폰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사실 장점을 뺀 나머지는 모두 단점이라고 볼 수 있는데.. 장점이 워낙 크니 (가격이 깡패), 다른 단점이 상쇄되죠 ^^;
① 부가서비스 없음 (통신사 혜택)
② 결합서비스 없음 (TV, 인터넷)
③ 고객센터 부족 (전화 안받음)
④ 데이터 무제한 없음
⑤ 로밍 요금제 많이 없음
⑥ 자급제 폰 써야됨 (약정폰 X)
알뜰폰의 단점은 위 6가지 정도인데, 가장 크리티컬 한 건 자급제 폰으로만 써야된다는 겁니다.
메이저 통신사가 고객을 락인 (묶어두기) 위해 약정으로 할인을 해주고, 약정기간 내 통신사를 바꾸면 위약금을 내거나 그간 받았던 헤택을 토해야됩니다. 그래서 보통 알뜰폰을 쓰시는 분들은 처음부터 자급제 폰으로 내돈주고 스마트폰을 사신 분들이거나, 2년 약정기간이 만료된 분들이죠.
자급제폰 = 공기계

자급제폰
자급제폰이란 통신사를 거치지 않고 기계(스마트폰)만 오픈마켓이나 전자 대리점에서 직접 구매한 폰을 뜻합니다. 따라서 어느 통신사를 반드시 써야된다는 약정도 없기 때문에 알뜰폰 유심을 끼고 바로 쓸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가격에서 메리트를 볼 꺼냐(통신사 약정 할인), 아니면 요금제에서 메리트를 볼꺼냐 (알뜰폰 이용)의 차이인데, 아이폰유저라면 약정할인 비중이 크지 않기 때문에 자급제폰으로 구매하고, 알뜰폰에 가입하는 게 이익입니다. 그래서 10대 20대 젊은층의 경우 아이폰을 많이 쓰고, 알뜰폰 이용 비율도 높죠.
그 외 단점으로 고객센터가 부실하고,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각종 부가 혜택이 없다는 점.. 그정도인데, 그건 가격이 싸니 충분히 참을 수 있습니다.
통신이 끊기고 느리다는 루머
간혹 알뜰폰의 단점으로 느리고 끊긴다는 말을 하시는데, 아닙니다. 똑같습니다. (통화품질이나 데이터 속도 모두 같음)

알뜰폰 구조
알뜰폰은 기존 망사업자 (SK, KT, LG)의 망을 대여해서 그 망을 그대로 씁니다. 따라서 통화품질이나 데이터 속도 모두 똑같으니 이 부분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심지어 KT Wife 존에서 kt망을 쓰는 알뜰폰은 와이파이도 쓸 수 있습니다.
'돈되는 IT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림픽훼밀리아파트 재건축 (ft. 가락시장 현대화) 용적률과 고도 제한 (0) | 2023.08.07 |
---|---|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 북마크바의 다양한 설정 방법 (0) | 2023.08.06 |
알뜰폰 kt M 모바일 밀리의 서재 요금제, 최신 아이폰14에서 알뜰하게! (0) | 2023.08.04 |
Stable Diffusion WebUI, 'CUDA out of memory' 메모리 부족 오류 처리 방법은? (0) | 2023.08.03 |
스테이블 디퓨전 WebUI 모델 다운로드 및 썸네일 이미지 설정하기 (0) | 2023.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