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는 '글로벌 구독자 수 감소, 시장 경쟁 심화'의 히든카드로, 2022년 11월 4일에 국내 출시했다. 처음에는 '광고형 베이식' 요금제였으나, 2024년 5월부터 광고형 스탠다드로 명칭과 형식을 변경하면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결론부터 짚어보자면, 넷플릭스 광고형 스탠다드의 가격은 월 5,500원이며 Full-HD 해상도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가성비 옵션이다. 다만 요금제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일정 부분의 광고가 송출되고 반드시 시청해야만 하는 구조다. 즉, 하나를 주고 하나를 얻는 격의 일장일단이 있다.

그래서 꼭 광고형 스탠다드를 선택할 필요는 없다. 본 포스팅에서 알려드릴 안전한 계정 공유 방식을 이용하면, 광고 없는 UHD 화질의 프리미엄 요금제를 쓰면서도 월 6천 원대로 시청이 가능하다.
비교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비교해 보자. 우선 아래 표부터 짚어보면,
요금제
|
월 요금
|
동시 시청 기기 수
|
화질
|
광고 포함 여부
|
다운로드 가능 기기 수
|
광고형 스탠다드
|
5,500원
|
2대
|
풀 HD(1080p)
|
포함
|
2대
|
스탠다드
|
13,500원
|
미포함
|
|||
프리미엄
|
17,000원
|
4대
|
울트라 HD(4K)
|
6대
|
1번과 2번의 차이는 딱 하나, '광고 포함 여부'다. 동시 시청 기기 수, 다운로드 가능 기기 수 모두 2대로 똑같다. 화질도 FHD로 같다. 광고 시청을 해야 하는지 아닌지에 따라 월 8,000원의 차이가 발생한다. 그래서 넷플릭스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가 큰 인기다.
광고만 참아낸다면(?) 스탠다드 요금제 대비 약 59% 저렴하니까. 경제적 부담이 큰 학생이나 젊은 층에서, 혹은 가볍게 이용하고 싶은 분들에게는 꽤 큰 매력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큰 인기 요인은 바로 '광고 수용 가능 사용자의 증가'에 있다. 이제는 유튜브에서도, 심지어 지상파 방송에서도 중간중간 광고가 송출되는 시대다. 그렇게 우리는 광고 자체에 큰 부담감이나 거부감을 느끼지 않게 되었고, 그런 사회적인 변화가 넷플릭스 요금제에서도 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광고는 보통 15초에서 30초로 구성되며, 콘텐츠 시청 시작 전 / 중간에 송출된다. 그리고 유튜브처럼 건너뛰기, 빨리 감기를 할 수 없다.
약 1시간 분량의 콘텐츠를 본다고 가정하면, 이때 총 4분가량의 광고가 재생된다. 개수로 보면 약 3~4개 수준이다. 참고로, 키즈 프로필 콘텐츠에서는 광고가 나오지 않는다. 주로 어린아이를 위해 Netflix 구독을 하는 가정이라면 꽤나 매력적인 이유다.

얼마 안 남았다. 광고없이 고화질로 시청!
프리미엄 요금제와의 차이는 다소 크게 벌어진다. 우선 가격 차이가 꽤 큰데, 3배 이상이다. 그래도 동시 시청 기기 수가 4대로 여유롭고, 화질이 UHD 4K로 격상한다. 당연히 광고는 없으며, 다운로드 가능 기기 수도 6대가 된다.
이렇게 간략히 넷플릭스 광고형 스탠다드와 다른 요금제를 비교 분석해 봤다. 내가 처한 상황이나 성향에 따라서 아주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는데, 어찌 되었든 콘텐츠의 몰입감을 방해하고 화질이 낮다는 점은 팩트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더 좋은 방법을 선택해서 시청하고 있으니 자세히 확인해 보자.
꿀팁
✔︎ 광고형 스탠다드 5,500원 / 프리미엄 약 6.500원

약 1천 원의 차이로, '광고가 전혀 없는 4K UHD 화질'을 즐길 수 있다. 바로, 안전한 계정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면 된다. 난 이미 3년째 이용 중이고, 그렇게 매월 1만 원 이상의 비용을 절약하고 있다.
계정 공유 플랫폼의 원리는 심플하다. 넷플릭스 프리미엄 요금제는 5개의 프로필을 설정할 수 있다. 바로 그걸 이용하는 건데, 1개의 계정을 5명이 쉐어해서 사용하는 형태다. 물론 이때 각 프로필의 시청 이력을 전혀 침범하지 않고, 결제 방식도 안전하게 갖춰져 있으니 걱정할 필요 없다.

'프로필 아이콘 - 계정 - 프로필'에서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내 프로필을 잠금'해버리면 된다. 내 프로필은 비밀번호 없이 들어갈 수 없도록 설정하면 되기 때문에,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를 시청하려는 1인 가구 / 학생 / 젊은 층 / 가볍게 이용하려는 분들 모두에게 아주 좋은 대체 수단이 된다.
다양한 계정 공유 플랫폼이 있는데, '겜스고'를 적극 추천한다. 모든 플랫폼을 다 써봤는데, '가격, 결제 방식, 고객센터, 안전한 대응' 등, 모든 면에서 겜스고가 단연 편리했다.
3개월 / 6개월 / 12개월로 결제할 수 있으며, '자동 갱신 활성화 + 프로모션 코드'를 입력하면 추가 할인을 받는다. 참고로 자동 갱신은 언제든 비활성화할 수 있으니, 비용을 낮추려면 부담 없이 활성화해두시길 바란다.

<프로모션 코드 : supapa13> 입력하면 추가 할인이 된다.
그렇게 1개의 프로필로만 12개월을 보면, 56.62달러로 월 6,749원이 된다. 지금 환율이 다소 높은 상황인데, 차츰 낮아지면 실질적인 비용은 더 내려갈 수 있다.
광고형 스탠다드 월 5.500원 - 프리미엄 요금제 1개 프로필 월 6,749원 = 약 1,250원이다. 매월 1,250원이면 '광고 없이 4K UHD 화질로' 모든 콘텐츠를 제약 없이 시청할 수 있다.

추가로, TV에서도 Netflix를 시청하고 싶다면 3명 공유 플랜을 쓰면 된다. '1개의 프로필(TV 지원)' 플랜을 선택하면 되고, 이때 12개월 총비용은 75.46달러가 된다. 월 6달러로, 약 8,500원이다.
오늘 소개한 Netflix 이외에도 다양한 구독형 플랫폼을 같은 방식으로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유튜브, 스포티파이, 챗GPT, 타이달, 오피스365, 디즈니+, 듀오링고, 크런치롤, 캔바, 노드VPN, 캡컷, 어도비, 오토데스크 등. 이 많은 플랫폼 중에서 1~2개만 구독으로 쓰고 있어도 상당한 비용을 아낄 수 있으니 지금 바로 안전한 계정 공유를 시작해 보시길!


'돈되는 IT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 단열필름 설치를 해야하는 이유 (0) | 2025.01.06 |
---|---|
갤럭시 S25 출시일 가격 디자인, 남들보다 먼저 살펴보기! (0) | 2024.12.19 |
넷플릭스 무료 시청, 네이버 멤버십 디지털 콘텐츠로! (0) | 2024.12.13 |
어도비 자동 결제 수단 종류 및 변경 방법 알아보기 (0) | 2024.12.13 |
인공지능 이미지 변환 웹서비스 dzine.ai 사용 후기 (0) | 2024.12.11 |
댓글